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건축디자인166

정자 스타일의 시원한 개방형 주택! The Pavilion House 스위스의 작은 마을에 콘크리트 골조를 바탕으로 목조 지붕을 덮은 집입니다. 박공지붕을 집의 면적보다 더 넓게 만들어 독특한 구조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면서 1층을 오픈형 주방과 거실로 설계하여 우리나라 정자 같은 느낌이 드는 건축물입니다. 마감을 최대한 하지 않고 노출콘크리트와 나무의 조화로 주거 공간이란 느낌을 최대한 배제한 것이 특징입니다. 설계자는 헛간 같은 느낌이 들도록 의도했다고 합니다. 1층이 개방적이고 노출콘크리트 위주의 거친 느김이라면 2층의 방이 있는 곳은 나무로 마감되어 따듯한고 포근한 느낌의 공간입니다. 두개 층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강약의 조화가 돋보이는 집입니다. Architects _ gus wüstemann architects Year _ 202.. 2021. 11. 10.
것과 속이 다른 느낌의 아담한 주택! JMO House 작지만 단단한 느낌이 드는 비탈에 세워진 집입니다. 주변의 전형적인 느낌의 주택들과는 달리 굉장히 독특한 외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터스트리얼 느낌의 외관에 무거운 느낌이 드는 집입니다. 하지만 내부 인테리어 느낌은 외관과는 달리 아늑하고 따뜻한 느낌이 드는 포근한 집입니다. 집 뒤쪽으로 계곡이 바라다 보이고 집의 북서쪽은 도로와 인접해 있습니다. 풍경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하기 위해서 사각형의 모서리를 깍아 육각형 모양이 되었습니다. 3층 집이지만 4분할 하여 스플릿 레벨 구조로 설계되어 한 층에서도 다양한 층과 각각의 다른 느낌이 드는 아기자기한 맛이 있는 구조입니다. 외관의 블랙 느낌이 내부에도 색감으로 약간 존재하지만 내부는 나무가 중심인 따뜻한 느낌이며 외부와 상반되면서 작은 .. 2021. 10. 29.
자연속의 브릿지형 목조주택! Forest House I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남동쪽 이스턴 타운십에 위치한 자연속의 목조주택입니다. 건축주는 자연과 더욱 가까이 살고 싶어 집을 짓게 되었습니다. 부지내에 커다란 암석들이 자리하고 있어 암석을 그대로 살리면서 채광고 조망을 얻기 위해 집을 지면에서 3미터 높여서 짓게 되었습니다. 자연 친화적인 집을 위해 마감의 대부분이 나무로 되어있어 자연과도 잘 어울립니다. 건축주의 주 활동 영역은 2층이며 면적이 적은 아랫층에는 2층 침대가 갖춰진 게스트 룸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2층은 계단을 중심으로 숲에 근접한 남쪽에 메인 침실이 배치되었고 반대쪽에는 개방형으로 이루어진 거실과 주방 그리고 식당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거실에서는 바위 위로 테라스가 산비탈과 연결되어 집에서 자연으로 공간이 확장되는.. 2021. 10. 27.
자연과 경계를 허문 미니멀 하우스! Villa Fifty-Fifty 집의 이름이 말해주듯 이집은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이 바둑판 모양에 섞여 있는 집입니다. 건축가는 내부와 외부가 번갈아 배치되어 안과 밖의 구분이 모호한 집이라고 설명합니다. 건축주의 뜻에 따라 자연과 연관성이 많은 집을 짓게 되었습니다. 바둑판 모양으로 조성된 땅은 자연과 주거 환경이 조화스럽게 표현되었습니다. 1층에는 공용공간과 부모님의 침실이 있습니다. 알루미늄으로 마감된 타원에는 2개의 침실이 있는데 두딸을 위한 공간입니다. 자연과 노출콘크리트의 조화속에 인터스트리얼 디자인 요소가 가미된 미니멀한 디자인의 집입니다. Architects _ Studioninedots Year _ 2018 ~ 20 Location _ Eindhoven, Netherlands Photo.. 2021. 10. 25.
재미난 창을 가진 화이트 하우스 Viewpoint House 필리핀 케손시티에 지어진 재미난 외관의 단독주택입니다. ㄱ자 모양의 대지 형태를 따라 전체적으로 ㄱ자 모양을 한 주택이지만 변형을 많이 주어 모던하면서도 독특한 형태를 나타냅니다. 대지의 동쪽과 뒷쪽은 이웃으로 인해 막혀 있고 서쪽이 개방되어 있어 오후에 햇살이 좋은 집입니다. 입구와 창들도 도로쪽인 서쪽 방향으로 뚫려 있고 탁트인 경치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1층의 창들은 도로쪽에서 집으로 볼 때 프라이버시를 생각하여 창 높이를 높게 하였습니다. 옆쪽에 작은 창들은 각도를 주어 빗물은 들어오지 못하지만 환기가 될 수 있는 역할을 하도록 했으며 조형적으로도 재미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습니다. 외관과 내부 모두 화이트 톤을 중심으로 집이 이루어졌으며 노출콘크리트를 통한 그레.. 2021. 10. 24.
다문화 가정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벽돌집 OldMeetsNew House 베트남 남부 메콩강 하류 연안도시인 짜빈에 지어진 주택입니다. 짜빈은 과거 캄보디아 영토였으나 1750년대에 배트남에 편입되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캄보디아계의 크메르인과 크메르크롬족이 많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건축주 가족역시 베트남인과 크메르인 그리고 중국인이 함께 살고 있는 다문화 가정입니다. 이러한 연유로 집의 건축에서 가족의 유대감과 조화를 우선으로 설계가 이루어졌습니다. 외부의 벽돌은 집 전체를 보호하는 역할고 내부를 필터링하는 스크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의 공기가 순환이 가능하도록 조적을 통해 공간이 확보되었습니다. 집의 구조는 배트남 전통가옥에서 가져와 거실, 식당, 주방을 가운데에 배치하고 집의 양 끝에 침실을 배치하였습니다. 특히 각각의 공간.. 2021. 10.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