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 Interior (194) 썸네일형 리스트형 내력벽 철거로 개방감을 확보한 리모델링 House With Four Columns 기존의 오래된 집의 내부를 리모델링한 사례입니다. 이 집은 60평대의 평수에도 불구하고 내부를 가로지르는 내력벽으로 인해 집이 좁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내력벽을 철거하고 그곳에 보강으로 H빔을 설치하여 개방감을 확보하였습니다. 특히 이 빔들은 매력적인 카민색으로 도색되어 하나의 인테리어 요소로도 손색이 없습니다. 시원한 개방감을 갖게된 1층에는 주방과 식탁 그리고 거실이 자리하고 지하층에는 내력벽을 그대로 두면서 침실입구를 크게 확장해 답답함을 없애주었습니다. 전체적으로 화이트 톤으로 마감되었으며 빔을 통해 포인트 컬러가 생겼고 색감이 있는 감각적인 가구들을 배치해 마무리 되었습니다. Architects _ Unknown Architects Locati.. 스튜디오가 결합된 예술가의 집 Artist Residence 예술가와 엔지니어 부부의 스튜디오가 함께 있는 거주 공간입니다. 현대적인 분위기의 집이지만 동네의 분위기와 어울리는 주거지를 원했던 부부의 의견에 따라 내부는 모던하고 현대적이며 외부는 주변과 어울리는 박공 지붕에 마감은 삼나무 목재로 된 주택이 탄생하였습니다. 내부 공간의 중심인 거실 겸 식당은 입구부터 뒷 마당까지 연결되어 있고 1층 이지만 지면보다 높아 프라이버시도 어느 정도 보호하고 있습니다. 그보다 반층 밑으로 스튜디오 공간이 자리하고 있으며 반층 위로는 게스트 룸이 있습니다. 게스트 룸보다 반층위호는 침실이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 구조는 여러 공간이 구분되어 있지만 연결된 느낌이 들게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내부 인테리어는 굉장히 감각적이어서 화이트 톤에 포인트 컬.. 자연 속 단순한 형태의 박공지붕 집! Ledge House 뉴욕에 살고 있는 부부가 현재는 별장으로 은퇴 후에는 주거용으로 쓰려고 만든 집입니다. 기존 주택을 철거하고 기존의 기초를 기본으로 재사용하면서 지어졌습니다. 형태는 기본적인 박공주택의 단순한 모양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그러나 벌룬 프레임 방식의 설계를 적용하여 일반적인 박공 지붕에 나타나는 천장 프레임을 없앤것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천고가 높고 시원한 느낌이 들게 되었습니다. 가운데 부분에 거실과 주방 식당이 자리하고 그 곳은 앞뒤로 오픈할 수 있는 개방형 공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집의 양 끝에 침실과 게스트 침실을 두어 가운데 공간에서 서로 소통할 수 있게 만들어졌습니다. 외부는 블랙톤으로 디자인 되었고 내부는 대비되는 화이트 톤으로 디자인 되었습니다. Architects _ De.. 건축주의 요구가 성실히 구현된 콤팩트 하우스! Stack-cube House 화이트 톤으로 깔끔하게 지어진 태국의 주택입니다. 작은 대지에 건축주가 원하는 것들을 전부 구현해야되서 정사각형 평면 2층을 가지고 불필요한 것을 덜어내며 설계된 집입니다. 1층에는 공용공간인 주방과 식당, 거실 그리고 액티비티룸을 배치하였고 2층은 개인공간인 3개의 방과 욕실 등을 배치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내부와 외부 모두 화이트 톤의 깨끗한 느낌의 집이지만 외부의 일부와 내부의 천장 마감 및 계단 등에 짙은 색감의 고재 나무를 사용하여 화이트 톤과 상반되는 무게감을 주고 있습니다. 앞과 뒤에 한 모퉁이를 유리로된 보이드 공간으로 구성하여 채광과 주변 풍경을 확보하였습니다. Architects _ TOUCH ARCHITECT Year _ 2020 Location _ Ch.. 바다에 진심으로 지어진 집! AMMOUDI HOUSE 그리스 자킨토스 섬에 지어진 별장입니다. 가족의 휴가용 별장으로 지어졌지만 차후에 주거용으로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집은 모든 주요 주거공간에서 바다를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서쪽은 작은 도로를 인접하고 있고 동쪽으로는 바다를 향해있는 집은 도로쪽은 프라이버시를 위해 폐쇄적인 형태지만 바다쪽으로는 굉장히 개방적인 형태입니다. 특히 바다쪽으로는 거실에 있는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 유리로 되어있는 대형문을 통해 닫혀있을 때 바다를 온전히 품을 수 있고 유리문을 열어젖히면 자연으로 완전히 오픈된 공간으로 변모합니다. 내부의 바닥과 외부의 바닥을 같은 재질로 통일하여 오픈하였을때 공간이 하나의 공간처럼 연결되어 공간의 확장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공간의 확장은 침실에도 적용.. 서로 다른 마감들이 조화로운 주택! casa dos cobogós 브라질 상파울루 북동부에 위치한 프랑카에 위치한 외관이 독특한 주택입니다. 외관의 4개 볼륨이 서로 다른 소재로 마감되어 개성있게 각자의 특징을 내보이고 있습니다. 각각 코보고 블럭과 나무, 석재 그리고 시멘트로 마감되었고 성질은 다른 재료들이지만 디자인적으로 굉장히 조화롭게 만들어졌습니다. 특히나 코보고 블럭을 적용하여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통풍과 채광 그리고 독특한 특징을 갖게 된 주택입니다. 내부의 인테리어도 외부의 특징들이 그대로 반영되었고 블랙벽과 나무 석재등이 고르게 사용되었습니다. 전면은 프라이버시를 중시하여 개방성이 덜하지만 뒷마당 쪽은 수영장을 향해 오픈된 형태로 설계하여 수영장과 함께 시원한 느낌이 드는 것이 특징입니다. Architects _ mf+ar.. 마당과 광장으로 개방성이 뛰어난 집! MEETING HOUSE 붉은 기와 지붕들이 빼곡히 들어선 포르투갈 소도시 중심가에 위치한 화이트 톤의 모던 주택입니다. 2.5면이 옆의 집들에 막혀 있는 창고 건물을 현대식으로 모던하게 리모델링 하였습니다. 거실과 주방을 사이에 두고 주차장으로 쓸 수 있는 작은 마당을 두었습니다. 마당을 중심으로 거실과 주방에는 전면 통유리를 설치해 개방감도 주었습니다. 작은 마당과 마당과 연결되는 집 앞 작은 광장 그리고 통유리를 열면 거실과 주방까지 모두 개방할 수 있는 구조가 가능한 설계입니다. 하지만 마당의 슬라이딩 도어를 닫으면 프라이버시가 충분히 보호되는 양면성을 띄고 있습니다. 집 외관과 같이 내부 인테리어도 화이트 톤이며 바닥을 나무로 깔고 곳곳에 나무 가구를 두어 따뜻한 인테리어를 연출하고 있습니다. .. 중정이 돋보이는 미니멀 하우스!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 언덕 중턱에 자리잡은 굉장히 미니멀한 집입니다. 멀리서 보면 하얀 육면체가 풍경과 이질적이게 놓여 있습니다. 특히나 이 지역은 노트라는 지역인데 2002년 도시 전체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곳입니다. 지역의 집들이 전통적인 형태를 하고 있어 더욱 도드라져 보입니다. 단층의 건물은 중앙에 자리잡은 중정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중정은 천장과 2방향이 오픈되는 형태라 개방적인 중정의 형태입니다. 철망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완전히 닫게 되는데 사생활 보호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프라이버시를 지키며 오픈하면 지역사회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습니다. 외부와 내부 모두 화이트 톤이 중심인 미니멀 하우스입니다. Architects _ morana+ra..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