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 Interior (194)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래 전부터 이곳에 있던 바위 같은 집! NEUBAU EFH TROVATELLO SELTISBERG 스위스 작은 시골에 지어진 바위 같은 집입니다. 처음 설계 단계부터 이 집은 자연의 일부처럼, 오래 전부터 이 곳에 있던 바위처럼 지어졌습니다. 튀지 않고 은은한 매력이 특징인 이 집은 특별한 단열 시공이 없습니다. 오로지 콘크리트 외벽 하나로 단열 및 실내 온도 습도를 조절합니다. 그래서 최대 1.2미터의 외벽을 시공하는데 가장 큰 공을 들였고 여러 기술들이 포함되었습니다. 콘크리트와 지붕의 다각형 구조는 이 집은 특징이며 이는 멀리서 굴러와 자리잡은 바위의 이미지를 형상화 하였습니다. 인테리어 또한 콘크리트가 그대로 노출되어 투박하지만 디자인적으로 정리가 잘 되어있습니다. 오랜 시간이 지나도 유행을 타지 않고 항상 그자리에 있기를 바라는 잘 .. 하얀 집으로 재탄생한 주택! House COVE(R) 기존의 2층 주택을 그대로 두면서 새로운 건물을 지어 집을 좀 더 확장시키는 프로젝트입니다. 원래 있던 주택에 확장 형태여서 남은 짜투리 공간에 집을 올리는 것이라 삼각형 모양의 땅으로 인해 삼각형 모양의 새로운 주택이 탄생하였습니다. 3층의 작은 하얀 집이 새로 지어졌으며 공간의 작기 때문에 3층으로 지어 졌습니다. 하나의 집으로 통일감을 주기위해 기존에 집에는 하얀 각재 파이프가 새롭게 입혀졌습니다. 새로운 집은 기존의 마당에 새워졌기 때문에 마당 공간 확보를 위해 새로운 집의 옥상을 활용하여 마당을 만들어 주었으며 계단을 양쪽으로 배치해 이동이 자연스럽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인테리어도 외관이 연장된 화이트 톤이며 포인트로 나무를 사용하여 따뜻함을 더해주었습니다. .. 과거와 현대를 이어주는 집! Maison de Brique 몬트리올의 오래된 주택 단지에 과거의 유산을 보존하며 현대식으로 멋지게 리모델링 된 주택입니다. 과거의 형태를 많이 유지하지만 새로운 벽돌집으로 탄생되었고 현대식으로 정리가 잘 되었습니다. 뒷쪽 마당을 중심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되는 집은 1층에 거실과 주방을 두어 통풍이 잘 되고 개방된 분위기를 만들어주어 원래 집보다 더 넓어 보이는 효과도 주고 있습니다. 2층의 방화 욕실은 개인적인 공간이지만 창문의 정렬을 통해 디자인성 일관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같은 벽돌이지만 좀 더 현대적인 세련된 벽돌을 사용하고 블랙프레임을 통해 잘 정리해주었습니다. 인테리어는 벽돌과 잘 어울리는 짙은 색감의 호두나무가 사용되어 통일되며 따뜻한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Architects _ N.. 층별로 용도가 확실히 다른 집! Casa LLF 가파른 경사면에 지어진 집은 경사를 활용하여 층별로 용도를 분명히 하였습니다. 제일 위쪽은 공용공간 및 외부공간으로 확실한 개방감으로 거실 및 주방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모든면이 오픈되어 외부로 향할 수 있으며 지붕 플레이트도 유려한 곡선으로 자유롭습니다. 반면 개인공간이 들어가 있는 아래층은 위층과는 완전히 다른 공간입니다. 마치 다른집이 들어와 있는 것처럼 디자인 되었습니다. 전체적인 디자인도 윗층이 곡선 위주라면 아랫층은 직선위주입니다. 각각의 방은 작 분리되어 있지만 전면을 통해 마당과 수영장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노출콘크리트가 건물 전체에 잘 보여지고 있으며 내부도 마감없이 노출콘크리트를 인테리어의 한 요소로 활용하여 나무 바닥과 조화롭게 어울립니다. Architects _ O.. 미술관처럼 리모델링 된 시골집! arrowtown house 집의 큰 형태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리모델링 된 집입니다. 기존 벽에 검은색 강철들과 어두운 톤의 목재를 주로 사용하여 새로운 재료들의 이질감이 없이 기존 집과 잘 어울립니다. 집주인의 미술 컬렉션이 마치 미술관을 연상시키며 오래된 집을 현대식 미술관으로 변모시킨듯 합니다. 리노베이션에 쓰인 재료들은 외부에서는 조화롭게 어울리고 내부에서는 화이트 톤과 대비되어 모던한 느낌을 주고 있어 외부와 내부가 다른 느낌의 집처럼 느껴집니다. Architects _ ANNA-MARIE CHIN ARCHITECTS Year _ 2012 Location _ Arrowtown, New Zealand 간단한 플레이트 구조 추가를 통한 리노베이션 Restyling LA 70년대 주택의 리노베이션입니다. 건물 자체적인 구조의 변화는 없으나 건물 앞쪽으로 콘크리트 플레이트를 새로 추가하여 리노베이션 하였습니다. 새로운 플레이트로 인해 간단하지만 여러 용도로 활용가능한 구조가 생성되었습니다. 건물 내부는 1층에 대한 새로운 거실과 공용공간의 확보이며 깔끔한 화이트 톤에 나무를 더해주었습니다. 큰 변화없이 간단한 구조의 추가로 깔끔하면서 새로운 집이 탄생하였습니다. Architects _ Didoné Comacchio Architects Year _ 2020 Location _ Vicenza, Italy 채광하나로 분위기가 달라지는 리노베이션! Cross-Stitch House 멜버른 도심의 폭 5m의 단층 주택을 리노베이션한 것입니다. 거실과 부엌을 중심으로 다이닝 공간을 새로 마련하고 거실과 방에 채광을 확보하는 것이 이번 리노베이션의 핵심이었습니다. 5m의 좁은 폭으로 인해 거실, 다이닝 공간, 부엌, 침실이 일렬로 배치되었으며 그 속에서 자연스럽게 채광을 확보해주었습니다. 화이트 톤의 인테리어에 나무를 활용하여 따뜻한 느낌을 살려주었습니다. 특히 나무의 활용은 인테리어 요소에서 가구로 연결되는 유기적인 사용이 돋보이는 인테리어입니다. Architects _ FMD Architects Year _ 2013 Location _ Melbourne, Australia 직사각형으로 길게 뻗은 모던한 단층집! Casa Park Way 넓은 대지위에 가로로 길게 뻗은 흰색 박스의 볼륨이 굉장히 모던하게 느껴지는 집입니다. 도로면을 중심으로 도로쪽 면은 개방감 없이 마감되어 프라이버시를 잘 보호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반대쪽에 개방적인 면을 넓게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위로 올리지 않았지만 넓은 대지에 넓은 집을 지으면서도 단층을 통해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주었습니다. 또한 일정한 비율을 건축에 활용하여 모듈화함으로써 역시 비용을 많이 줄여주었습니다. 인테리어는 외부 화이트톤은 내부까지 그대로 가져왔고 밝은 나무톤으로 따뜻함을 더해주었습니다. 넓고 개방적이면서도 비용을 줄여주는 것이 단층 주택의 매력이라하겠습니다. Architects _ arqbr arquitetura e urbanismo Year _ 2019 ..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5 다음